융과 프로이드 theory(이론)의 비교, 분석심리학의 사회복지실천에의 적용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13 07:12
본문
Download : 융과 프로이드 이론의 비교, 분석심리학의 사회복지실천에의 적용.hwp
응의 정신의 전체성에 대한 통찰은 집단무의식에 대한 체험에서 처음 되었다. 더욱이 의식과 무의식을 빙산에 비유한 프로이드에 비해 큰 바다와 조그만 섬…(투비컨티뉴드 )
융과 프로이드 이론의 비교, 분석심리학의 사회복지실천에의 적용 , 융과 프로이드 이론의 비교, 분석심리학의 사회복지실천에의 적용인문사회레포트 , 융과 프로이드 이론 비교 심리학 사회복지실천 적용
융과 프로이드 theory(이론)의 비교, 분석심리학의 사회복지실천에의 적용
Download : 융과 프로이드 이론의 비교, 분석심리학의 사회복지실천에의 적용.hwp( 54 )
레포트/인문사회
다. 자기원형의 기능으로 나타나는 정신의 전체성이 자기(self)이다. 또한 성격에 대한 관점에서도 차이가 있는데, 프로이트는 인간의 성격이 주로 과거의 사건이나 과정들에 의해 결정된다고 본 반면, 융은 인간의 성격이 과거의 사건들뿐만 아니라 미래에 무엇을 하기를 열망하는가에 의해 결정된다고 보았고, 프로이드는 인간정신의 인식수준에 초점을 맞추어 무의식의 중요성을 강조한 반면, 융은 인류의 정신文化(문화)의 발달에 초점을 두고 집단무의식이란 관념을 도입하여 무의식의 범위를 확장시켰다는 점에서도 차이가 있따 융은 인간을 정신의 전체성을 실현하는 존재로 보았다.



설명
순서
융과 프로이드 theory(이론)의 비교, 분석심리학의 사회복지실천에의 적용
융과,프로이드,이론,비교,심리학,사회복지실천,적용,인문사회,레포트
융과 프로이드 理論(이론)의 비교, analysis(분석) 심리학의 사회복지실천에의 적용
I. 융과 프로이드의 비교
융의 analysis(분석) 심리학과 프로이드의 정신analysis(분석) 학의 근본적인 공통점은 무의식의 세계를 강조했다는 점이다. 자기실현을 개성화과정으로 표현하고 자기실현의 과제課題에 따라 人生(life)을 전반기와 후반기로 나누고 있따 전반기 자기실현의 과제課題는 외적세계의 적용에 있고, 후반기의 그것은 내면세계의 適應에 있따 융에게 있어 정신병리 현상이란 정신의 전체성에서 벗어난 상태다. analysis(분석) 심리학에서 진정한 의미의 무의식은 집단무의식이고 모든 원형을 포섭하고 대표하는 것은 자기원형이다.
II. 사회복지실천에의 적용
융의 analysis(분석) 심리는 프로이드의 정신analysis(분석) 처럼 무의식에 강조를 두었다는 점에서 a social worker(사회복지사) 들이 실천에 적용시키기가 어려워 보인다.
`표` 프로이트와 융理論(이론)의 차이점
analysis(분석) 심리학의 인격理論(이론)의 핵심은 자기실현의 과정이다. 이 때문에 이 둘을 심층심리학이라고도 한다. 또한 무의식적인 것을 의식화시키는 과정이 인간의 성숙에 중요하다는 것을 강조하는 점도 양자가 같다.
그러나 융은 프로이드의 범성설, 생물학적 환원론, 기계론적 인간관을 비판하면서 결별하였다. 따라서 정친치료는 원리상 개성화과정에 따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