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킷 스위칭 기술(WAN과 ATM)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30 16:12
본문
Download : 통.doc
다. PAD (Packet Assembler Disassembler)
패킷 스위칭 기술(WAN과 ATM)
라. X.25의 향후 展望
Download : 통.doc( 35 )
가. 프레임 릴레이 등장 배경
다.
패킷스위칭기술 WAN ATM PAD 프레임릴레이 / ()
나. ATM과 STM (Synchronous Transfer Mode)
초기의 컴퓨터 통신망은 전화망을 이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설명
나. X.25 프로토콜 구조
X.25는 DTE(Data Terminal Equipment)와 DCE(Data Circuit-terminating Equipment)간의 점대점 인터페이스를 definition 하고 있다 즉 패킷망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 규격을 definition 하고 있는데 여기서 DTE는 사용자가 사용하고 있는 컴퓨터등의 장비를 말하고, DCE는 망사업자가 제공하고 있는 망접속장비이며 DCE는 패킷교환기에 연결되어 있다
나. X.25 프로토콜 구조
2. 프레임 릴레이 (Frame Relay)
다. 프레임 릴레이의 동작
가. X.25 등장배경
가. X.25 등장 배경
라. LMI 확장
패킷스위칭기술 WAN ATM PAD 프레임릴레이 / ()
순서
레포트 > 공학,기술계열
가. ATM의 등장 배경
나. 프레임 릴레이와 X.25의 비교
마. ATM 향후 展望
마. 프레임 릴레이의 향후 展望
다. ATM 셀 구조
패킷스위칭기술 WAN ATM PAD 프레임릴레이
3. ATM (Asynchronous Transfer Mode)
X. 25는 패킷으로 불리는 특정한 데이타 블럭을 통하여 통신하는데, 사용자의 전문은 이러한 여러개의 패킷으로 분할되어 전송되고 수신시는 수신한 여러개의 패킷을 합쳐서 사용자 전문을 만들게 된다된다. 그러나 기존의 전화망만 가지고는 컴퓨터를 이용한 원거리의 고품질 데이타 서비스를 제공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었으므로 고품질의 데이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TELENET, TYMNET 같은 패킷교환망이 1970년대에 들어오면서 설치되기 시작하였다.
라. ATM 참조 모델





1. X.25
이와 같은 패킷망들은 사용자에게 망 서비스를 성공적으로 제공하였으나 서로 독립적으로 개발, 설치된 망들은 장비들간의 호환성이 문제가 되기 시작하였다. 이를 위해 전화회사들을 중심으로 표준 프로토콜이 제정되기 시작하였고, 그 중에 ITU-T에 의해 관리, 감독되며, 국제적으로 가장 널리 알려진 프로토콜이 X.25 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