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 점자 훈맹정음의 제작 과정에 관한 고찰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17 15:42
본문
Download : 한글 점자 훈맹정음의 제작 과정에 관한 고찰.hwp
2. 3·2점식 점자
1913년 제생원 맹아부에서 근무를 처음 한 박두성 선생은 홀여사에게 한글점자를 세계적으로 사용하는 6점식 점자인 부레일 식으로 바꾸기를 요청하였다. 뉴욕 포인트는 1868년 뉴욕 맹학교 교장이던 William Bell Wait에 의해 개발된 점자로서 종으로 2점, 횡으로 4점까지 배열할 수 있으며, 빈번하게 나타나는 점자가 최소수의 점을 갖는다.
1897년 다시 내한하여 죽은 딸을 기념하여 만든 에디트 마가레트 병동에서 맹소녀를 가르치기 처음 하였다. 그러나 홀여사는 조선식 日本(일본)어 점자안까지 보이면서 반대…(To be continued )
한글 점자 훈맹정음의 제작 과정에 관한 고찰에 대한 입니다.
설명
한글점자훈맹정음의제작과정에관한고찰
한글 점자 훈맹정음의 제작 과정에 관한 고찰
Ⅰ. 홀여사와 조선훈맹점자
Ⅱ. 3-2점자
Ⅲ. 훈맹정음
1. 홀여사의 조선훈맹점자
이미 처녀 시절 눈으로 점자를 읽을 수 있을 정도의 점자 실력을 갖추었던 R. S. Hall은 1894년 맹소녀 오봉녀를 만나 점자의 필요성(必要性)을 느끼게 되었다.
레포트/인문사회






한글 점자 훈맹정음의 제작 과정에 관한 고찰에 대한 자료입니다.
홀 여사는 뉴욕 포인트를 응용하여 1898년 조선훈맹점자를 만들어 맹소녀들을 가르치고 성경, 조선어 기도서, 십계명 등을 점역하였다. 한글점자훈맹정음의제작과정에관한고찰 , 한글 점자 훈맹정음의 제작 과정에 관한 고찰인문사회레포트 ,
순서
Download : 한글 점자 훈맹정음의 제작 과정에 관한 고찰.hwp( 28 )
,인문사회,레포트
다.
홀 여사가 배운 점자는 뉴욕 포인트였다.
이에 남편 W. S. Hall이 사망하여 미국으로 잠시 귀국한 사이 뉴욕맹인원(Institution for the Blind in New York)에 가서 점자를 다시 배웠다.